아이들은 저마다 성격과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절대 모범답안이란 없습니다. 그러나 '절대 아이에게 해서는 안되는 행동'은 존재합니다. 아이의 발달, 아이와의 관계등에 치명적일 수도 있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과연 무엇이 있을까요?
1. 지킬 수 없는 약속은 하지 마세요.
아이에게 엄마아빠와의 약속은 '절대적'입니다. 엄마아빠가 어쩔 수 없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지킬 수 없는 약속을 반복한다면 아이는 엄마아빠를 믿을 수 없게되요. 신뢰가 흔들리면 애착도 흔들립니다. 아이에게는 지킬 수 있는 약속만 해주세요.
2. 신체적인 체벌은 위험해요.
아이가 잘 못을 저지르면 부모는 '훈육'을 해야지 '신체적인 체벌'을 하면 안되요. 아이를 때리는 행동은 처음에는 효과적이나 점점 무뎌집니다. 또 아이가 너무 이른 시기에 '힘의 논리'를 배울 수 있어요. 무엇보다 폭력의 성당성을 학습한 아이는 모든 상황을 폭력으로 해결하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폭력은 폭력을 낳는다는 걸 기억하세요.
3. 기분에따라 아이를 대하지 마세요.
기분변화에 따라 아이를 대한다면, 아이는 엄마아빠의 행동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기준을 잡지 못해요. 기분이 좋을 때는 잘 해주고, 그렇지 않을 때 사소한것에 화를 낸다면 아이는 혼란스러워하며 엄마아빠의 눈치를 보게되요. 기분대로 아이를 대한다면 아이는 엄마아빠를 믿지 못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4. 무조건 부모의 의견을 강요하지 마세요.
자아개념이 생기는 두살즈음부터 스스로 행동하려 노력합니다. 아이도 나름 행동에 생각이 있는 것이지요. 이 때 아이에게 묻지도 않고 부모의 생각만 강요한다면 아이는 자존감에 상처를 받게되고,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은 본인의 결정을 굉장히 위험하다고 여기게 되요. 더이상 주체적으로 생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주세요.
5. 선물로 때우지 마세요.
부모님도 당연히 아이에게 실수나 잘못을 할 때가 있습니다. 미안한 마음에 아이에게 선물을 잔뜩 안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예요. 아이에게 '잘못한 일은 물질로 대체가 가능하구나'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거든요. 또한 보상은 점점 커져야 효과가 유지됩니다. 아이는 점점 더 큰 보상을 요구하게되요. 선물로 때우지말고 잘못에 대해서는 제대로 사과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6. 본인이 하지 않는 일을 아이에게만 요구하지마세요.
아이는 관찰과 모방의 천재입니다. 부모님의 모든 행동과 말투를 흡수하지요. 그러므로 아이에게 뭔가 요구할때는 부모님도 함께 해야 아이의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하지 않는 일을 아이에게만 요구한다면 아이는 부모님의 말을 잔소리로만 여길 것이고 말만하고 실천하지 않는 모습을 그대로 모방하게 될거예요. 아이에게 뭔가 바란다면 반드시 먼저, 함께 해주세요.
7. 남의 시선을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누군가 우리아이를 어떻게 생각할지 엄마들은 너무 많은 시선을 신경씁니다. 남의 시선으로 순식간에 행동이 변하기도 하고 하려던 것을 그만두기도 해요. 그러나, 가장중요한 것은 '나의 아이'라는 것입니다. 훈수를 두는 남들이 내 아이의 미래를 책임져주지 ㅇ낳아요. '내 아이'에게 가장 올바른 방법은 무엇인지 항상 생각해주세요.
8. 모든것을 다 챙겨주려고 하지 마세요.
'아이를 위해'라는 명목으로 아이의 모든 일에 간섭하려는 엄마들이 있어요. 작고 사소한것마저 허락받게 하거나 도와주려는 성향의 부모님이죠. 안전하고 바르게 자라게 하려는 의도지만 실은 그렇지 않아요. 아이의 주체적이고 독립적 성격이 점점 사라지게됩니다. 과잉보고하지 말고 아이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게 해 주세요.
9. 아이의 실수에 크게 한숨짓지 마세요.
실수는 누구나 하지만 성공의 도약으로 삼을지 그대로 주저앉을지는 '실수했을 때의 태도'로 갈립니다. 아이의 실수에 부모님은 다시 도전하도록 용기를 주어야 합니다. 실패도 괜찮으니 다시 해보자고 응원해주어야 합니다.
실수했을 때 부모의 얼굴이 실망으로 가득 차 있다면 아주 큰 잘못을 했다고 여기게되어 이 불안감으로 아이는 도전을 회피하고 실패를 두려워하게 되요. 실수는 성공을 위한 토대가 되어야합니다. 아이가 실수하면 다시 도전하도록 도와주세요.
10. 아이에게 표현하는 것을 아끼지 마세요.
여러가지 이유로 아이에게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는 부모님들이 ㅁ낳아요. 표현을 많이 하면 아이가 버릇없어진다고 여기는 사람도 많아요. 아이를 사랑하지만 새삼 표현이 부끄럽다고 여기는 부모님도 많아요. 그러나 아이도 표현하지 않으면 모릅니다. 표현을 아끼지 마세요. 아낌없이 드러낼 수록 아이는 더 행복해지고 애착도 단단해집니다. 이 마음은 아이를 긍정적이고 베푸는 사람으로 키워줍니다. 더 많이 안아주고 더 많이 이야기해주세요.
#322일 #10개월 #10개월아기 #육아맘 소통맘 #그림책 #언어능력 #육아일기 #첫아이 #이유식 #간식 #육아템 #도치맘 #도치빠 #육아빠 #여아 #새벽2시 #무한체력 #엄빠 #옹알이폭발 #육아정보 #육아팁 #실수 #하지말아야할일 #한숨 #표현 #애착 #육아
'바다 >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비사인, 알고 계신가요? (0) | 2021.11.09 |
---|---|
훈육할때 해도 되는 행동과 하지 말아야할 행동 (0) | 2021.11.08 |
아이를 변화시키는 대처법 (0) | 2021.11.05 |
우리 아기들은 왜 손가락을 빨까요? (0) | 2021.11.04 |
아빠의 육아를 알아봐요 (0) | 2021.11.02 |
댓글